지역화폐(Local Currency)의 목적 : 공동체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
- 지역경제 영향력 : 커뮤니티 < 시장 < 도시
→ 공동체와 지역경제 중 어디에다 방점을 찍을 것인가는 주체와 상황에 따라 다름
학년형
- SNCC 고민 중. 올해 중 제안 및 모델 만들기 : 공동육아/방과후, 학교(반별 학부모/학생) 등
- 오프라인으로 자주 보며 년단위로 구성원이 바뀌는 공동체 내의 교환 시스템
- 구성원이 바뀌는 시점에서 통장 (-)인 사람이 현금을 내고 (+)인 사람이 돈을 받아서 모든 구성원,
혹은 공동체에서 나가는 사람들의 계좌를 정산. (-)한도의 일정비율을 미리 내고 시작하면 더 안전함.
- 정산이 깔끔해질 수 있고, 이미 강력한 공동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호 필요도 많음
지역형
- 성남사랑 상품권 등 운영 중, 은평구 등 연구 중
- 시군구 또는 도 단위에서 화폐를 '환전/유상교환/유상지급/무상지급'의 형식으로 발행
- 관 주도의 경우 보장 및 지원이 원활한 장점이 있으나 운영단계가 복잡해지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음
- 해외사례 : 영국 브리스톨 파운드, 독일 킴가우어
사회적경제 조직 신용교환 시스템
- 서울시 연구 중
- 사회적경제 조직(사회적기업, 협동조합 등)간 거래를 위한 신용교환 시스템
- 자본이 부족한 사회적 경제 조직들의 상호교환을 통해 조직의 자생력을 높이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
- (+)(-) 통장 계좌거래/청산 : 검증 및 지속적인 관리 필요
- 해외사례 : 스위스 비어, 프랑스 낭트
공동체화폐 성공의 핵심 키 : 황순식
1) 화폐관리의 투명화/간편화
2) 회원 가입/탈퇴 시 화폐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운영규약 및 노하우
3) 일반 시장과 화폐에서 얻을 수 없는 새로운 경험과 부가적 이익
4) 운영자들이 봉사한 댓가를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 시스템
지역화폐의 성공조건 : 문진수 박사
1) 화폐 공동체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용역이 얼마나 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가?
2) 거래 활성화를 위한 최소 단위의 규모화를 이룰 수 있는가?
3) 쏠림&막힘 현상을 극복할 방안이 있는가?
4) 관리국을 운영할 수 있는 경비를 조달할 방안이 있는가?
'전체 보기 > 나누장의 배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통장을 활용한 지역화폐의 확산 방안 연구 - 완료 보고서 (0) | 2018.02.05 |
---|---|
성공회대 특강 - 지역화폐의 이론과 경험 (0) | 2017.11.16 |
왜 공동체 화폐인가? (0) | 2016.12.22 |
14.12.09 배경 및 설계 (2) | 2016.12.09 |
15.03.01 경제의 거대한 전환기 (0) | 2016.12.08 |